Category:Korean
P2P재단코리아 위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elcome to the P2P Foundation Korea Wiki
P2P재단은 연구활동을 통해 내용을 문서화하고 실천적인 P2P사례를 홍보하는 국제 기구이며 P2P재단코리아는 한국내
네트워크 조직으로 국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맞는 실천과 활동을 전개합니다.
이 문서는 현재 초안이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The P2P Foundation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cused on documenting, researching and promoting P2P practices.
The P2P Foundation Korea is involved in various fields as a network organization based in Korea.
This document is the first draft and will be continuously updated.
간단한 P2P재단 한국어 소개 자료(Brief Introduction to the P2P Foundation Korea)
P2P재단은 무엇을 하는가?(What does the P2P Foundation do?)
P2P재단코리아소개(P2P Foundation Korea Introduction)
P2P재단코리아는 한국내 P2P의 정신에 동의하고 사회내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며 커먼즈를 확산시키는 것에 실천적으로 동참하는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과 조직이 참여하는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네트워크이다.
현재의 한국은 오천년의 역사를 지닌 아주 우수한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일제 식민지와 분단체제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많은 전통과 공동체는 파괴되었다.
이에 새로운 대안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모색 그리고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한국적 상황에서 P2P의 정신과 철학을 현 사회의 대안으로써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큰 흐름을 한국내에 형성할 것이다.
또한 P2P재단코리아는 현재 한국내에서 개별적으로 활동해 온 개인과 조직을 하나로 묶어내고 커먼즈를 확산시키는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P2P재단과 국제적 연대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임무로 규정한다.
P2P재단코리아는 누구에게나 열린 개방성과 공유의 정신을 담고 있으며 참여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조직은 kookminproject@gmail.com으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The P2P Foundation Korea supports the core value of P2P. We build communities in the real world and we are an open network which is filled with individuals and groups who have ideas and self-activated on spreading commons.
Korea has some outstanding cultural values and about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But, we lost many of our traditions and communities from the colonial era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nsequently, theoretical researches and actual practices are occurring. In such condition, philosophy and value of P2P will make a big wave to provide an alternative solution.
In addition, our mission is to gather individuals and groups who are already acting as members, to spread commons and to strengthen our relationship with global P2P Foundation.
The P2P Foundation Korea is open to everyone. So, please contact us to the e-mail if you are interested in joining us. kookminproject@gmail.com
P2P재단코리아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P2P Foundation Korea Objectives)
우리의 현대 사회는 물질자원은 풍부하고 비물질적인 아이디어는 희귀하다는 어리석은 생각이 지배하고 있다. 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마치 우리의 행성이 무한의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선전하면서, 인간과 동물들 모두의 생존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지구의 자원을 남용한다. 또한 인간지식에 인공의 장벽을 둘러서 가능한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것을 방해하고 금지한다.
그래서 우리의 목표는 아래의 문장들로 요약할 수 있다:
1.자연에 대한 근거없는 무한한 풍요로움에 대한 가정에서 비롯된 현대의 위험한 자연 착취 상황을 널리 알림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파괴를 막는다. (천연 자원이 무한하다는 가정에 기반하는 주장)
2. 혁신을 저해시키는 아이디어와 지식의 소유권 개념을 포기함으로써 과학과 문화의 두 지식의 자유로운 교환을 촉진한다. (과도한 저작권들을 통해 부족하게 만든 지식의 흐름이 제한되고 있다는 가정에 기초)
3. 연구자 및 비즈니스 그리고 일반대중이 공부와 창조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P2P의 개발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 공유재를 조성한다.
4. 전 세계에 있는 P2P 및 커먼즈의 최고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며 번역하여 알리고 한국내 지지자와 조직을 넓힌다.
5. 한국내에서의 P2P와 커먼즈의 중요한 담론을 제기하며 새로운 분야의 다원적 이해를 제공한다.
6. 한국내의 지지자, 혁신가, 기업가와 공공 정책 입안자 뿐만 아니라 예술가와 문화 생산자들을 연결한다.
Our present society is based on the absurd idea that material resources are abundant and immaterial ideas should be kept artificially scarce. The dominant paradigm behaves as if the planet contains infinite resources and it exploits the earth in a way that endangers survival of both animal species and humanity while building artificial walls around human knowledge to prevent and impede sharing as much as possible.
Our aims can be summarized under the following maxims:
1. Ending biosphere destruction by exposing dangerous and exploitative conceptions of pseudo-abundance in the natural worl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atural resources are infinite)
2. Promoting the free exchange of knowledge both scientific and cultural by abandoning innovation inhibiting conceptions of pseudo-scarcit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ow of knowledge must be restricted, made scarce, through excessive copyrights)
3. Studying and creating a comprehensive knowledge commons about P2P developments that can be used by the general public, researchers and business
4. Curating the best content on P2P and the Commons from around the globe
5. Offering a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this emerging field by representing diverse critical discourse
6. Connecting advocates, innovators, entrepreneurs and policy makers, as well as artists and cultural producers
P2P재단코리아 멤버(P2P Foundation Korea Members)
Activist : Choi Yongkwan [1] - email : youngpower21@gmail.com
Activist : Choi Yezune - email : yezune@actus.kr
Activist : Park Changki - email : ckfrpark@gmail.com
Activist : Tai Kersten - email : kerstentw@gmail.com
Activist : Hong Sungho - email : icarus@actus.kr
Activist : Choi Mino - email : heymino@gmail.com
Activist : Chang Donghoon [2] - email : donghoon@iiitd.ac.in
Activist : jae kwon [3] - email : jae@tendermint.com
Activist : Kim Inhwan - email : mfea@naver.com
cooperation NGO : Opennet [4]
cooperation NGO : JinboNet [5]
cooperation NGO : IPLeft [6]
cooperation NGO : NPO ICT Support Center [7]
P2P 진행 프로젝트(P2P project)
오픈백신 프로젝트(Open Vaccine Project)
현재 출시되어 많은 유저가 다운로드받고 스마트폰에 RCS 악성코드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Open Vaccine is, now, available on google playstore and downloaded by many users. It checks whether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RCS spyware.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org.p2plab.openvaccine
관련내용(Related link) : http://p2pfoundation.net/Korea_NIS_Civilian_Oversight_2015
BlockchainOS 개발 프로젝트(BlockchainOS Development Project)
블록체인OS 개발과 관련한 소식과 진행과정 그리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입니다.
2015년 두번의 밋업을 진행했고 2016년 여러차례 블록체인포럼을 진행했으며 현재 회사 설립을 했고 관련 서비스 프로젝트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BlockchainOS is a company which provides blockchain developing news and also operates the actual development project.
Two meetup were held in 2015, and several blockchain forums were proceeded in 2016. We have started a company, and we are now getting ready for related service projects.
http://www.blockchainos.org/
https://www.facebook.com/blockchainOS/
P2P 관련 서적(P2P books)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12가지 이야기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은 두 저자 마이클 루이스와 팻 코너티는 RESILIENCE, 즉 회복력을 우리 시대의 핵심가치로 내세운다. 그들이 진단하는 우리 시대는 어떠한가.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식량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며, 잦은 자연재해는 일상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기후변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화석연료는 현대를 인류 역사상 가장 풍족한 시대로 만들었지만, 무분별한 채굴과 남용으로 인해 고갈을 앞두고 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9137730
http://commonstransition.org/community-land-trusts-urban-land-reform-and-the-commons/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글쓴이 : David Bollier)
『공유인으로 사고하라』는 공유[재](commons)가 어떻게 현대 시장 경제학의 기본 논리에 도전하는지를 설명한다. 또 공유[재]가 어떻게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를 넘어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과 사회적 행위의 틀을 제공하는지, 공유[재]가 어째서 위키피디아에서부터 종자 공유, 공동체 삼림, 협업적 소비 등에 이르기까지, 폭발적으로 팽창하는 DIY 혁신의 한 분야가 되고 있는지를 보여 준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8352518
http://thinklikeacommoner.com/
Pages in category "Korean"
The following 2 pages are in this category, out of 2 total.
Media in category "Korean"
The following 2 files are in this category, out of 2 total.
-
Ethereum White Paper Korean.pdf ; 1.05 MB